전체 글 207

현대자동차지부 판매위원회 서울서북부지회 운영위원 수련회 강연

오늘은 현대자동차지부 판매위원회 서울서북부지회의 초청으로 운영위원 수련회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강연 제목은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판매노동의 대응”.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미치는 영향도,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대응도 공장과 생산직 노동만을 중심으로 분석되고 논의되는 현실에서 비공장 비생산직 노동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이번 강연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했습니다: 1)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 2) 노동의 대응, 3) 자동차 판매의 미래. 사실 저는 자동차 판매에 관해서는 문외한이고, 참석하신 판매 동지들이야말로 전문가들이십니다만, 당사자가 아닌 3자 입장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대응 방향을 말씀드리고, 제 이야기가 판매 동지들이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하는 ..

현대자동차지부 1공장사업부위원회 교육 및 정책분과 수련회(3/2~3/3)

현대자동차지부 1공장사업부위원회 교육 및 정책분과 수련회에 다녀왔습니다. 주최 측에서 요청한 교육 주제는 “전동화 흐름과 사업부위원회 대응 방향”, 교육 내용은 “전동화 관련 세계적 흐름 → 전동화 관련 현대차 동향 → 사업부위원회 대응 방향”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 자료는 “전동화-거스를 수 없는 대세”, “현대자동차의 전동화 전략”, “전기자동차 생산시스템”, “현대차 생산전략과 전기차 생산시스템”, 그리고 “사업부위원회의 대응”으로 구성했습니다. 이번 교육의 핵심인 “사업부위원회의 대응”에서는 기존 대응–코나 일렉트릭 양산 협의와 아이오닉 5 양산 협의를 평가하고, 이후 대응에 대한 제안을 하였습니다. 기존 대응에 대한 제 평가의 핵심은 노동조합이 공수 협의는 잘 하지만, 기술(시스템) 변화에 ..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 첫 공부(2023.02.23.)

올 한 해 모듈부품사 노동조합 간부들과 제 책을 교재로 같이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주 목요일(2/23)이 첫 시작이었습니다. 첫 날이라 우리가 왜 같이 공부하는지, 무엇을 얻을 것인지 하는 이야기를 시작으로 (① 자동차산업 전환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관점과 지식 습득, ② 자동차산업 전환만이 아니라 다른 사회 현상도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 갖추기, ③ 학습 역량(태도, 기술, 방법) 제고, ④ 동지애와 소통 능력 함양 등) 학습 방법(독서 방법, 발제 요령, 메모 작성, 토론)과 “들어가는 글”에 대한 개괄에 이어, (① 자동차산업의 정립과 전환을 환경 변화와 기술 발전, 행위자의 상호작용으로 이해, ② 구조/환경과 행위의 상호작용으로 사회 현상 이해, ③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을 위해 무엇을..

책 이야기 2023.03.01

현대자동차지부 대의원대회 강연(2023.02.20)

현대자동차지부 정기 대의원대회(2023.02.20)에 참석해서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노동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시간이 짧아서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서는 아주 간략히 언급하고, “노동의 대응”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기술 변화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노동조합 권력(Power), 노동조합 역량(Union capacity), 노동조합의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동조합의 대응 유형, 노동조합 대응의 어려움 등등-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산업 전환에 대한 노동의 대응과 관련해, 이번 산업 패러다임 전환은 사회적 현상이며,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이번 전환과 관련해 정의로운 전환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고 책임 주체로서 노조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 실효성 있는..

현대자동차 미래변화대응TF 강연(2023.02.14)

현대자동차(울산) 노사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대응”이라는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는 사회적 전환이니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어야 하고, 따라서 ‘사회적 가치 존중’, ‘실효성 있는 기후 위기 대응’, ‘정의로운/공정한 전환(Just Transition)’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역시 산업 전환의 최전선에 계신 분들이라 구체적인 고민이 묻어나는 질의와 토론으로 이어졌습니다. 앞으로 더 진솔한 의견들을 나눌 수 있길 기대합니다. 다음 주에서는 현대자동차지부 대의원대회에서, 그 다음 주에서는 1공장 대의원들을 대상으로 강연할 예정입니다. 제 책과 강연이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도록 하는데 ..

현대모비스광주지회 확대간부 수련회(2023.02.08.) 강연

현대모비스광주지회 확대간부 수련회(2023.02.08.)에 가서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노동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무거운 주제인데, 열심히 들어주시니 저도 흥이 나서 더 열심히 이야기했습니다. 금속노조 평균보다 훨씬 젊고, 열심히 공부하고 고민하며 실천하는 이 분들이 주역이 될 우리의 미래는 밝겠죠. ^/^ 기대가 큽니다.

출간 안내 -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제가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전동화와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관점과 지식을 제공하는 책으로, 산업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도록 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집필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 링크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08395907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초기 자동차의 등장과 경쟁, 자동차산업의 성립, 그리고 자동차와 생산시스템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접근한다. 이어서 현재 진행 중인 자동차산업의 전동화와 그 전동화의 핵심에 있는 전 www.aladin.co.kr 책..

책 이야기 2023.01.05

새로운 계급형성 위해, 지나온 계급형성 돌아봐야-[분절된 노동, 변형된 계급-울산 대공장 노동자의 생애와 노동운동]에 대한 서평

제가 존경하고 신뢰하는 유형근 교수님의 책이 나왔다고 해서 충분히 검증된 책도 잘 안 읽는 제가 출간 소식 듣자마자 주문했고, 읽지도 않고 사람들에게 추천부터 했습니다. 읽어 보니 예상대로 훌륭한 책이라 널리 알리고자 서평을 썼습니다. 한참 부족한 글을 흔쾌히 실어주신 매일노동뉴스와 좋은 책을 써주신 유형근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으시면 좋겠습니다. 제 서평은 여기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330 [] 새로운 계급형성 위해, 지나온 계급형성 돌아봐야 - 매일노동뉴스 노동계급의 현재 모습에 비판적인 사람들, 새로운 노동계급 형성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유형근 지음, 산지니)을 추천한다. 이 책은 “1980..

책 이야기 2022.12.06

열린 미래, 가치 지향과 이를 실현할 전략 역량이 가장 중요

서울노동권익센터가 2022년 10월 25일 개최한 [제26회 노동권익포럼] “MZ 노조 등장, 새로운 이해 대변인가”에서 발표한 제 토론문입니다. 이 포럼의 전체 자료집은 여기에. 1. MZ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 변화(발표문 1에 대한 토론) 이 연구는 청년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양적으로 분석해 일부의 통념과 달리 노동조합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것을 보여줌. 중요한 주제에 대해 훌륭한 연구를 수행해 반가운 결론을 내려준 연구자들에게 감사드림. 연구의 발전과 연구 결과의 실천적 수용을 위해 몇 가지 의견을 드림. 주제 관련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MZ 세대’가 아니라 ‘청년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 변화임. 양적 분석 관련 생략. 자료집 참조. 결과 해석 및 함의 관련 1. 최근의 ..

테슬라가 하면 다 혁신일까?

심리학에 후광 효과(halo effect)라는 게 있다.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에, 그 대상의 어느 한 측면의 특질이 다른 특질들에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편향의 하나인데, 예를 들어 사람을 평가할 때 그 사람의 외모가 출중하면 그 사람의 지능이나 성격 등도 훌륭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명문대 출신이니 지적 능력이 뛰어날 것이다, 교수니까 인품이 훌륭할 것이다. 살면서 그게 편향일 뿐임을 수없이 경험하지만 쉽게 사라지지 않는 편향이다. 다수의 지지를 얻는 손쉬운 방법 중의 하나는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대상을 비판하는 것이다. 일본, 중국제, 바지를 거꾸로 입다니... 뭐 이런 것. 좀 더 세련된 형태는 다수가 숭배하는 대상을 찬양하면서 스스로를 비하하는 것이다. 미국이, 유럽이, 애..

자동차산업 2022.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