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 생각, 엔지니어 이야기 2

조성재 등(2022), [제조업 엔지니어의 인적자원관리와 역량증진 방안]

노동연구원 조성재 선임연구위원이 주도한 이 연구는 제조업 엔지니어 직종에 대한 포괄적 분석이며, 이는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이다. 이 연구는 엔지니어 노동시장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의 토대 위에서 노동수요 측 요인과 노동공급 측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핀 노동경제학적 접근을 제도적, 경영학적, 사회학적 접근으로 보완한 다학제적 접근이며,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통계적 분석과 사례 분석, 그리고 조직 수준(민간기술연구소) 분석과 개인 수준 분석을 병행하고, 노사관계까지 살핌으로써 엔지니어와 관련한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후 엔지니어 연구와 엔지니어 정책에 기초가 될 귀중한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들에게 감사드린다. 이후 더 연구하고 정책적으로 고민해야 할 몇 가지 쟁점을 정리해 본다.- 한국 경..

‘엔지니어’라는 존재에 대한 탐구 - 엔지니어에 대한 비교사적 접근

엔지니어는 누구인가? 주체에게 존재에 대한 질문은 제1의 질문이다. 당연히 엔지니어에게도 그렇다. 내가 예전에 알고 있던 엔지니어의 기원은 엔진과 관련되어 있었다. “Engineering은 본래 Engine을 다루는 일이었고, Engineer는 Engine을 다루는 사람, 즉 Engineering을 하는 사람이었다.” 증기기관이 산업혁명의 동력기관이었으니 충분한 역사적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럴듯한 이야기일 뿐 사실과는 달랐다. 최초로 산업혁명이 발생했던 영국에서도 기계공학보다 토목공학이, 기계 엔지니어보다 토목 엔지니어가 선행했다. 그렇다면 엔지니어는 언제 등장했고, 어떤 존재일까? 엔지니어들의 중요성에 비해 많이 부족하지만 엔지니어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있었다. 대표적인 국내 연구 중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