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 25

250713 화웨이(Huawei) 매장 방문

최근 중국자동차, 그 중에서도 BYD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BYD의 핵심 경쟁력은 기술 경쟁력이 아니라 원가 경쟁력이다. 특히 자율주행이나 SW 기술은 그리 뛰어나지 않다.기술 경쟁력 차원에서는 BYD보다 화웨이(Huawei)를 주목해야 한다. 특히 전기차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나, SDV 경쟁력은 상당히 뒤처진 한국 자동차산업 입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현재 역량을 보면 BYD와는 경쟁할 만하지만, 화웨이나 샤오미와는 경쟁하기 쉽지 않다.화웨이는 직접 자동차를 생산하지 않으며, 따라서 다른 완성사와 직접 경쟁하지 않고 유연하게 협업하면서 독특한 사업 모델을 통해 중국 자동차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 그래서 더욱 두려운 존재이다. 다른 나라 자동차산업에는 없는 유형/수준의 행위자이다.화웨이..

자동차산업 2025.07.17

250710 상해 AMTS 2025 방문

AMTS 2025(2025 ­Shanghai International Automo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Material Show)제조 기술 및 장비 전시회라 자동차 같은 제품 전시회에 비해 일반인들에게는 덜 흥미롭다. 전시 기술/기법도 아직 다소 미숙해 보인다.제품을 개발하지만 제조에도 관심이 있는 나는 나름 기대했으나 신기술이나 흥미로운 장비는 발견하지 못했다. 전시회에 대한 주최 측 설명은 대륙의 자부심이 만든(?) 상당한 과장 광고였다. 역시 상해 모터쇼 때 왔어야 하는데.그런데도 관련 업계 종사자가 아닌 일반인들로 보이는 사람들이 많았다. 데이트하는 연인들, 전시회에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멋 낸 사람들도 종종 있고, 전시물을 배경으로, 때로는 간단한 장비를 들고 ..

자동차산업 2025.07.17

경제추격론의 재창조(이근, 2014)와 '골고루 2등 전략’

이 책은 저자 이근 교수가 기업, 산업, 국가라는 세 차원에서 추격을 다룬 저자의 책, 네 권을 종합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저자는 경제추격론을 재창조했고, 세 가지 추격의 역설이 탄생했다. 재창조한 추격론의 핵심은1. 기존 세계경제 및 국제분업 체계로 늦게 진입하게 되는 후발자는 시작 단계에서 어디로 진입할 것인가 하는 진입구 찾기부터 어려움에 처한다.2. 외생적인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후발자와 선발자의 다른 대응방식의 상호작용으로 추격 성과가 결정되며, 여기에는 규칙성이 있다.3. 효과적인 추격 전략은 세 가지 역설로 정리할 수 있다.추격의 역설은1. 선발자와 같아지기 위해서는 달라져야 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선발자를 모방하고 배우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지만, 어떤 단계에서 비약적 추격 성과를 내기 위해서..

책 이야기 2024.11.30

자동차산업,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더칼럼니스트 [박근태의 '자동차와 사회'] 열 한 번째 칼럼입니다. “‘대량 생산, 대량 소비’라는 현대사회의 기본 운영 원리를 만들어 냈던 자동차산업의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길 바라면서 지난 1년 동안 여러 주제를 다뤄 왔다. 근본적인 시각에서 지금 중요한 것들을 짚어 보고자 지난달 칼럼에서는 “진단과 전망”을 다루었고, 이번 달 칼럼에서는 “대응 방안”에 대해 이야기한다.” https://www.thecolumnist.kr/news/articleView.html?idxno=2992 자동차산업,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더칼럼니스트‘대량 생산, 대량 소비’라는 현대사회의 기본 운영 원리를 만들어 냈던 자동차산업의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길 바라면서 지난 1년 동안..

자동차산업, 기후위기에 제대로 대응 중인가?

더칼럼니스트 [박근태의 '자동차와 사회'] 열 번째 칼럼입니다.“지난해월 15일 첫 칼럼을 게재한 후 어느덧 1년이 지나 이제 열 번째 칼럼을 쓰게 되었다. ‘대량 생산, 대량 소비’라는 현대사회의 기본 운영 원리를 만들어 냈던 자동차산업의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길 바라면서 그동안 여러 주제를 다뤄 왔다. 이제 근본적인 시각에서 지금 중요한 것들을 두 번에 나누어 짚어 보고자 한다. 먼저 진단과 전망이다.” https://www.thecolumnist.kr/news/articleView.html?idxno=2920 자동차산업, 기후위기에 제대로 대응 중인가 - 더칼럼니스트▶ 유튜브로 칼럼 듣기 지난 해 6월 15일 에 첫 칼럼을 게재한 후 어느덧 1년이 지나 이제 열 번째 칼럼을 쓰게 되었..

전기자동차 캐즘을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더칼럼니스트 [박근태의 '자동차와 사회'] 여덟 번째 칼럼입니다. “이제 국내 언론에서도 현재 겪고 있는 전기자동차 판매 성장 둔화를 캐즘(chasm)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 되었다. 캐즘에 대해 이야기한 지난 칼럼에서 지적한 것처럼 지난해 국내 언론이 보여준 전기자동차 대세론에 대한 의심은 과도한 것이었다. 국내 언론이 상황을 과하게 판단한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 판매가 계속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역성장한 국내 상황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전동화와 자동차산업 전환을 바라보는 국내 언론들의 인식이 깊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국내 언론의 보도는 주요 완성차 기업들의 전동화 계획 후퇴에 머물고 캐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

한국지엠지부 합동간부회의 강연 “자동차산업 전환,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240508)

지난해토) 한국지엠지부 현장조직인 새민주가 주최한 기획 강연을 했는데, 대략 1년이 지난 올해 5/8(수)에는 한국지엠지부 합동간부회의에서 강연했습니다. 주제는 “자동차산업 전환,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한국지엠은 잘 나가는 현대차그룹과는 다른 상황에 있는 기업이라 더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많은 기업이 내연기관차가 축소되는 전동화로 인한 영향을 염려할 때 반대로 생산할 전기차가 없어서 걱정해야 하고, 사회적으로는 자동차 생산의 축소가 필요하지만, 이미 생산 축소를 계속 경험해 온 사업장이고, 본사가 미국에 있는 외자 기업이라 노동조합의 어려움이 더 큽니다. 연구소와 법인이 분리되고, 노동조합마저 조직을 달리하게 된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더구나 제품 혁신이 더욱 중요한 산업 전환기에. 그래도..

왜 완성사가 자동차산업의 대장(大將)일까?

더칼럼니스트 [박근태의 '자동차와 사회'] 여섯 번째 칼럼입니다. 지난달 칼럼 주제로 생각한 것인데, 연말에 바빠서 밀렸습니다. 제 칼럼이 “상식적인 질문에 대한 친절하고 성실한 답”이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상식적인 질문” 찾기가 어렵네요. 질문, 있으신 분? ^/^ “익숙한 것은 당연하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자동차는 본래부터 당연히 바퀴가 네 개였을 것 같지만, 최초로 2차 전지를 사용한, 따라서 최초의 실용적인 전기자동차라 할 수 있는 트루베의 전기자동차(그림 1 참조)도, 한동안 최초의 자동차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액체 연료를 사용한, 최초의 실용적인 내연기관차에 불과한 벤츠의 파텐트 모토바겐도 세 바퀴였다. 본래부터 당연했던 것이 아니라 익숙해져서 당연해졌을 뿐이다. 완성차기업이 자동차산업에서 ..

한국자동차산업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하여

오는 1/17(수)에 열리는 포럼 에서 “한국자동차산업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하여”라는 제목으로 발표합니다. 지난 성탄 연휴부터 지금까지, 연말연초 가족여행도 같이 못 가면서 고민하고 정리했습니다만, 아직 미진한 것 같네요. 이번 토론을 계기로 더 풍부하게 발전되길 기대합니다. 다음은 제 발표문의 서두입니다. “한국사회에서 정의로운 전환이 이야기된 지도 꽤 되었고,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깊어지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정의로운 전환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정의로운 전환이 시작되고 있는지, 아니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왜 잘 안 되고 있을까? 이대로 가면 결과는 자명하지 않은가? 말의 성찬과 자기변명으로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 진전으로 이어지려면..

자동차산업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