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7

'안티 현대', 근거 없는 악감정인가?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를 기반으로 진보적 노동운동의 역사를 계승하고 새로운 노동운동을 만들어가고자 하는 '함께하는 노동과 삶(약칭 노동과삶)'이 오늘 9/10 발행한 유인물 2호입니다. '함께하는 노동! 함께하는 삶! 그래서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지, 격려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노동이 행복한 삶을 만들기 위해 출발합니다.

남양연구소에서 함께 활동하는 동지들과 오랫동안 준비해 온 새로운 현장조직'함께하는 노동과 삶(노동과삶)'이 지난 7/16 창립총회를 갖고 출범하였습니다. 스스로 표방한 대로 진보적 노동운동의 역사를 계승하여'함께하는 노동! 함께하는 삶! 그래서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많은 관심과 지지, 격려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7/31(금) 발행한 출범유인물입니다.

한국에서 산별 노사관계는 가능한가? -금속산업 산별교섭을 중심으로-

“함께 사는 세상, 그래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 한동안 노동조합 간부로 열심히 활동했습니다. 그러나, 제 바람과는 달리 노동운동은 계속 정체되었고, 사회적 약자들의 고통도 더 커져 갔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대체 왜 이럴 수 밖에 없는가? 어떻게 해야 새로운 희망을 만들 수 있을까?’ 이런 고민으로 우리 사회의 노동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노동대학원에 진학하였고, 애초 제가 가졌던 문제의식에 대한 답을 나름대로 정리하여 논문을 썼습니다.노동(조합)운동에 실천적으로 도움이 되는 글을 쓰겠다는 의지는 높았으나, 논문으로서 형식과 내용을 갖춰야 한다는 제한조건, 시간적 제약, 그리고 무엇보다도 능력의 한계로 인해 애초 뜻한 바를 이루지..

지난 십 년의 성과를 딛고 더욱 전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아자동차 일반직 노동자회의 요청으로 작성한 "창립 10주년 격려사"입니다. 지난 십 년의 성과를 딛고 더욱 전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1.기아자동차 일반직 노동자회 9기 총회와 창립 1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저 또한 일반직 노동자의 한 사람으로서 대단히 기쁩니다. 지난 2004년 4월 1일 창립총회에서 동지들께 인사 드리고 축하 드린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십 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지난 십 년 동안 일노회는 많은 활동을 해왔고 부단히 성장하여 이제 기아자동차 일반직 노동자들을 대표하는 조직을 넘어 기아자동차지부를 주도하는 집단이 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입니다. 더 큰 역할과 더 왕성한 활동을 기대하며 몇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2.다들 잘 아시는 것처럼, 노동은 인..

“빵과 장미 Bread And Roses” 그리고 “노동에 대한 생각 The Thought of Work”

켄 로치 감독의 “빵과 장미 Bread And Roses (2000년 작)”를 다시 보게 되었다. 한 학기 동안 John W. Budd의 [The Thought of Work]를 통해 노동이 얼마나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노동과 노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지 배운 후에 보고 쓰는 감상문이니, 일반적인 접근 보다는 주요 등장 인물들에게 노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중심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마야에게 노동이란? 돈을 벌기 위해 멕시코에서 미국 국경을 넘어 불법 이민자가 된 마야가 처음 갖게 된 일(work)은 술집 여종업원이었다. 진한 화장을 하고서 거친 남성들의 희롱 속에 버텨야 하는 그 일(work)은 마야에게 불평등한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 속에서 자유(free..

영화 이야기 2013.06.10

노동과 복지 - 노동운동 재구성을 위한 제4차 토론회 -

여러 모로 어려운 시기이지만, 많은 분들의 성원 속에 ‘노동운동 재구성을 위한 토론회’를 꿋꿋하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4차 토론회는 라는 주제로 6/1(토)에 열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해주시고, 6/1(토) 4차 토론회 에 함께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1. 토론회 제안 취지 ○ 산업노동정책연구소와 노동자 삶꿈 네트워크 준비모임에서는 ‘노동운동의 재구성을 위한 토론회’ 제4차 주제로 ‘노동과 복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 이번 토론회에서는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양극화 현실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복지 문제를 다루고자 합니다.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한국 사회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음은 이제 주지의 사실입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복지’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인식도 확대되..

금융위기 이후 세계 자본주의 변화와 노동의 대응 - 매일노동뉴스 기고문

“노동운동 재구성을 위한 토론회 2 - 금융위기 이후 세계 자본주의 변화와 노동의 대응”의 주요 내용을 제 나름대로 정리하여 매일노동뉴스에 기고한 글입니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114 2차 토론회(3/16)는 1차 토론회보다 더 열띤 토론회가 되었습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next421c.tistory.com/77 노동운동 재구성을 위한 토론회 2: 금융위기 이후 세계 자본주의의 변화와 노동의 대응 박근태 전(前) 금속노조 부위원장 지난 3월16일 진행된 두 번째 토론회는 ‘금융위기 이후 세계 자본주의의 변화와 노동의 대응’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