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기 평가 4

자동차산업,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더칼럼니스트 [박근태의 '자동차와 사회'] 열 한 번째 칼럼입니다. “‘대량 생산, 대량 소비’라는 현대사회의 기본 운영 원리를 만들어 냈던 자동차산업의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길 바라면서 지난 1년 동안 여러 주제를 다뤄 왔다. 근본적인 시각에서 지금 중요한 것들을 짚어 보고자 지난달 칼럼에서는 “진단과 전망”을 다루었고, 이번 달 칼럼에서는 “대응 방안”에 대해 이야기한다.” https://www.thecolumnist.kr/news/articleView.html?idxno=2992 자동차산업,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더칼럼니스트‘대량 생산, 대량 소비’라는 현대사회의 기본 운영 원리를 만들어 냈던 자동차산업의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길 바라면서 지난 1년 동안..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 다섯 번째 공부(2023.10.16.)

지난 월요일(10/16) “공부해서 조합원 주자”는 결의로 시작한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다섯 번째 공부 모임이 있었습니다. 이번 공부의 범위는 “8장 고전압 배터리 – 전기자동차의 심장”과 “9장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인가?”, 둘 다 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내연기관차의 핵심(기술)이 엔진이었다면 전기자동차의 핵심(기술)은 고전압 배터리이고, 시장의 요구가 아니라 기후위기 대응 수단으로 전기자동차가 장려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이 두 장 모두 상당히 많이 준비하고 고심해서 썼습니다. 특히 배터리 부분은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부분으로 이 부분에만 몇 달을 썼습니다. 중요하지만 어려운 내용이고, 어렵지만 쉽게, 쉽지만 정확하게 핵심을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처음부터 다시 공부해서 정리했고..

책 이야기 2023.10.22

전기車는 충분히 친환경적이지 않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인가?” 사회적으로 대단히 중요하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문제이다. 단순한 질문이지만 간단하게 답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이 질문에 제대로 답하기 위해서는 사실 세 가지 층위의 질문으로 나누어 답해야 한다. 정말 환경에 이로운가? 다른 종류의 교통수단에 비해 친환경인가? 다른 종류의 자동차에 비해 친환경인가? 이번 칼럼에서는 세 번째 질문에 대해 다룬다. 첫 번째 질문과 두 번째 질문은 독자들의 관심이 크다면 다음 기회에 다루겠다. 전기자동차는 이른바 무배기차(Zero-Emission Vehicle: ZEV)이다. 따라서 배기가스만 주목받던 때에는 전기자동차가 완전한 친환경차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기후 위기가 심화되면서 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더 포괄적이고 ..

출간 안내 -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제가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전동화와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관점과 지식을 제공하는 책으로, 산업 전환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전환이 되도록 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집필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 링크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08395907 전기자동차가 다시 왔다?! 초기 자동차의 등장과 경쟁, 자동차산업의 성립, 그리고 자동차와 생산시스템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접근한다. 이어서 현재 진행 중인 자동차산업의 전동화와 그 전동화의 핵심에 있는 전 www.aladin.co.kr 책..

책 이야기 2023.01.05